국립법무병원 간호사의 간호 근무환경과 이직 의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a National Forensic Psychiatic Hospital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2023;32(3):307-314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3 September 27
doi : https://doi.org/10.12934/jkpmhn.2023.32.3.307
1Professor, College of Nurs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2Part-Time Instructor, College of Nurs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강문희1orcid_icon, 곽동현,2orcid_icon
1충남대학교 간호대학 교수
2충남대학교 간호대학 시간강사
Corresponding author: Gwak, Donghyeon College of Nurs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66 Munhwa-ro, Jung-gu, Daejeon 35015, Korea. Tel: +82-42-580-8412, Fax: +82-42-580-8309, E-mail: donghyeongwak@gmail.com
- This study was partially supported b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Research Fund in 2022.
Received 2023 July 31; Revised 2023 September 4; Accepted 2023 September 8.

Trans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job satisfaction as a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a national forensic psychiatric hospital.

Methods

This study used a descriptive design. All participants were nurses (n=102) working at a national forensic psychiatric hospita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PROCESS macro (version 4.1) with SPSS 26.0 program.

Results

Turnover intention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r=-.37, p<.001) and job satisfaction (r=-.46, p<.001). Job satisfaction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and turnover intent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ed the completely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and turnover intention. In order to prevent turnover,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and job satisfaction in consideration of forensic patients and hospital environment.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인구 고령화와 만성질환의 증가로 의료 환경과 보건정책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보건의료 인력 중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간호사의 수요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1]. 보건의료서비스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의료기관에서는 적정수준의 간호 인력을 확보하려 노력하고 있지만, 간호 인력의 채용과 유지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1,2]. 보건 의료인력 실태조사에 의하면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는 과중한 업무량과 교대 근무, 야간 근무로 인한 어려움으로 22%가 이직을 고려하고 있었으며 의사 8.3%, 약사 17.4% 등 다른 보건의료 인력과 비교하여 이직 의도가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1]. 직장에서 자발적으로 떠나려 고려하는 심리적 반응인 이직 의도는 실제 이직으로 연결되는 경우가 많아 인력 유지에 있어 매우 중요한 지표임을 고려했을 때[3] 간호사의 인력 유지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간호사의 이직은 새로운 직원의 채용과 인력 공백으로 인한 초과근무 수당의 증가로 막대한 비용이 소모되며, 남아있는 간호사들의 업무량과 건강에도 영향을 미친다[4]. 또한 간호 서비스의 질 저하로 환자의 건강과 안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4.5]. 따라서 간호사의 이직 의도와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는 것은 이직을 줄임으로써 환자의 건강과 안정적인 조직 경영을 위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국립법무병원은 범죄를 일으킨 정신장애인을 보호하고 정신건강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내 유일의 법무부 소속 의료기관으로 국립법무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는 법적 지위를 통해 입원 환자를 보호하는 동시에 간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6]. 또한 입원 환자와 치료적 관계를 유지하며 의료진이자 보호자의 역할을 함께 수행하고 있지만, 폭력의 위험성에 항상 노출되어 있으며 법의 집행과 간호 서비스의 경계에서 갈등이나 어려움을 겪는다[7]. 국립법무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이직률에 대한 구체적인 통계자료는 없지만 이직, 퇴직, 휴직 등으로 간호사의 10%는 결원인 상태이며[6] 간호사 1인당 담당 환자 수가 종합병원 ․ 대학병원에서 근무하는 정신간호사에 비해 2배 이상 높아[8] 인력 부족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소진 수준이 높은 편이다[9]. 직무 스트레스[10]와 소진[10-12]은 이직 의도와 관련되어 있으므로 국립법무병원 간호사의 이직 의도도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국외의 경우에도 국립법무병원과 같은 기관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채용과 유지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7]. 높은 보안 환경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인력 유지는 경험 많고 실력 있는 전문적인 간호사의 양성과 더불어 범죄를 일으킨 정신장애인의 건강과 안정적인 사회복귀를 위해 중요하므로 국립법무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이직 의도와 관련된 연구들이 필요하다.

간호사의 이직 의도는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성별, 나이와 같은 개인적 요인과 소진, 직무 스트레스, 직무만족과 같은 간호사의 주변 환경과 관련된 요인을 비롯하여, 근무 형태, 간호 근무환경 등 소속된 직장과 관련된 요인 등이 이직 의도와 관련되어 있었다[10-15]. 이 중 간호 근무환경은 이직 의도와 높은 관련성이 있으며 이직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보고되었다[10-13]. 간호 근무환경은 양질의 간호를 위한 기반, 인력, 자원 등이 포함된 복잡하고 다차원적인 개념이다[16]. 유럽의 10개국 간호사를 대상으로 간호 근무환경과 이직 의도 간 관계를 조사한 연구에서 간호 근무환경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간호사의 경우 이직 의도가 낮았던 점을 고려해보면 간호 근무환경에 따라 이직 의도의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13]. 또한 직무만족은 이직 의도를 예측하는 주요한 변수로 제시되고 있다[10-12,14,15]. 직무만족은 간호사가 직장에서 느끼는 만족과 요구 충족에 대한 감정적인 반응으로 직무만족에 따라 간호의 질과 환자의 만족도에 차이를 가져오는 요인이다[17]. 직무만족은 연령, 결혼 상태, 교육 수준, 근무 형태, 의사소통 능력, 기관의 유형 등 다양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특히 간호 근무환경은 직무만족에도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제시되고 있다[18,19]. 직무만족은 이직 결정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 요인이기 때문에 간호사의 직무만족은 이직 의도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에서 선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Price와 Mueller의 Causal model [20]은 간호사의 이직에서 직무만족의 중요성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간호사의 이직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받고 직무만족은 환경적, 개인적, 구조적 요인으로 설명되는 결정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아 매개 요인으로 직무만족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선행연구들을 종합해봤을 때 간호 근무환경은 직무만족[18,19], 이직 의도[10-12]에 영향을 미치고 직무만족은 이직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므로[14,15] 간호 근무환경과 이직 의도의 관계에서 직무 만족의 매개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국립법무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간호 근무환경과 이직 의도 사이에서 직무만족의 매개 작용을 확인하여 간호사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국립법무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간호 근무환경, 직무만족 및 이직 의도를 파악하고, 간호 근무환경과 이직 의도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대상자의 간호 근무환경, 직무만족, 이직 의도의 수준을 파악한다.

•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이직 의도의 차이를 파악한다.

• 대상자의 간호 근무환경, 직무만족, 이직 의도 간 상관관계를 파악한다.

• 대상자의 간호 근무환경과 이직 의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파악한다.

연 구 방 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국립법무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의 간호 근무환경과 이직 의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 조사연구이다.

2.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자는 국립법무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남, 여간호사 전체이다. 본 연구는 국립법무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총 144명 중 휴직자 18명을 제외한 126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126부가 모두 회수되었으나 미완성 또는 불성실한 답변의 설문지 24부를 제외하고 102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G*Power 3.1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회귀분석에서 효과 크기 0.15, 유의수준 .05, 예측인자의 수 6, 표본 수 102를 입력하였을 때 사후 검정력은 .82로 수용 가능한 수준이었다.

3. 연구도구

1) 간호 근무환경

Lake [16]가 개발한 도구를 Cho 등[21]이 한국어로 번안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한 도구를 저자의 승인 후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Likert 4점 척도로 측정되며 총 29문항으로 병원 업무에 간호사의 참여 9문항, 양질의 간호를 위한 기반 9문항, 간호 관리자의 능력과 리더십 그리고 간호사에 대한 지지 4문항, 충분한 자원 및 물질적 지원 4문항, 간호사, 의사의 협력관계 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점수는 1점 ‘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4점 ‘매우 그렇다’의 문항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간호 근무환경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도구의 신뢰도는 Cho 등[20]의 연구에서 Cronbach’s ⍺는 .93이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 ⍺는 .91이었다.

2) 직무만족

Lee, Eo와 Lee [22]가 종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직무만족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도구를 저자의 승인을 받아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조직차원의 지원 및 인정 9문항, 직업을 통한 인격적 성숙 6문항, 존중과 인정의 인간관계 8문항, 전문직간호사로서 책임완수 4문항, 직업의 안정성 및 보람 3문항, 전문적 역량 발휘 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문항은 33문항이다. 점수는 1점‘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5점 ‘매우 그렇다.’로, Likert 5점 척도로 측정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높음을 의미한다. 도구의 신뢰도는 개발 당시 Cronbach’s ⍺는 .95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 ⍺는 .95였다.

3) 이직 의도

Yeun과 Kim [23]이 간호사의 이직 의도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도구를 저자의 승인 후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직무만족 요인 4문항, 업무 수행 요인 3문항, 대인 관계 요인 3문항으로 총 1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점수는 1점 ‘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5점 ‘매우 그렇다.’로, Likert 5점 척도로 측정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이직 의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Yeun과 Kim [23]의 연구에서 Cronbach’s ⍺는 .83이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 ⍺는 .91이었다.

4) 일반적 특성

선행연구의 결과[11-13,15,19]에서 간호사의 이직 의도와 관련이 있던 성별, 근무경력, 근무 형태, 폭력 경험 유무를 측정하였다.

4. 자료수집

자료수집은 2022년 11월 16일부터 12월 7일까지였다. 연구자는 연구참여에 대한 협조를 구하기 위해 국립법무병원 병원장과 간호과장에게 연구의 목적 및 방법 등 연구에 대한 절차에 관해 설명하였다. 이후 간호과장은 병동 수간호사들에게 연구 설명문과 동의서가 포함된 설문지를 배포하고 각 병동에 설문지를 비치하였다. 연구 설명문에는 연구의 목적 및 방법, 자발적 참여와 원하는 경우 언제든지 중단할 수 있는 권리, 연구를 중단하더라도 어떠한 불이익이 없다는 점과 연구참여자의 위험과 이익 등에 대해 기술하였다. 연구 설명문을 읽고 자발적 참여 의사를 밝힌 간호사들은 연구동의서에 서명 후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설문지를 모두 작성하고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설문지 수거함에 제출하도록 안내하였다.

5. 윤리적 고려

본 연구는 C대학교의 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202209-SB-134-01]을 받았다. 자발적 참여의사를표현한 간호사에게 연구의 배경과 목적, 방법, 원하는 경우 언제든지 중단할 수 있는 권리, 연구참여자의 위험과 이익,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안전대책 등을 연구 설명문을 통해 안내하였다. 연구참여에 대한 설명문을 읽고 동의서에 서명 후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안내하였다.

6. 자료분석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6.0 프로그램 및 PROCESS macro (version 4.1)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 간호 근무환경, 직무만족, 이직 의도는 기술통계를 이용하여 빈도, 평균, 표준편차, 백분율로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이직 의도의 차이는 t-test, ANOVA, 변수 간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사용하였다.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검증은 PROCESS macro의 Hayes 4번 모델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 중 이직 의도와 관련있는 변수를 통제하고 매개효과의 유의도는 5,000개의 bootstrap samples를 사용하여 95% 신뢰구간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 구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이직 의도의 차이

대상자의 성별은 여성이 69명(67.6%)으로 남성(32.4%)보다 많았으며 국립법무병원 근무경력은 10년 이상이 41명(40.2%)으로 가장 많았다. 근무 형태는 교대 근무가 86명(84.3%)으로 주간근무자 16명(15.7%)보다 많았고, 폭력 경험은 92명(90.2%)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이직 의도의 차이는 근무경력(F=13.14, p<.001), 근무 형태(t=-2.36, p=.020), 폭력 경험(t=-2.03, p=.044)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able 1).

Differences of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N=102)

2. 대상자의 간호 근무환경, 직무만족 , 이직 의도 수준

대상자의 간호 근무환경은 평균 2.41±0.47점, 직무만족은 평균 3.21±0.56점, 이직 의도는 평균 3.17±0.95점이었다(Table 2).

Level of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N=102)

3. 대상자의 간호 근무환경, 직무만족, 이직 의도의 상관관계

이직 의도는 간호 근무환경(r=-.37, p<.001), 직무만족(r=-.56, p<.001)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Table 3).

Correlation among Nurse Practice Environmen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N=102)

4. 대상자의 간호 근무환경과 이직 의도의 관계에서 직무 만족의 매개효과

본 연구에서 Durbin-Watson은 1.81로 2에 가까워 잔차의 독립성은 검증되었으며 공차 한계(tolerance)가 0.1 이상, 분산 팽창지수(VIF) 10 이하, 상관계수는 .37에서 .56 사이로 변수 간 자기상관과 다중공선성의 조건을 충족하였다. 공변인(국립법무병원 근무경력, 근무 형태, 폭력 경험 유무)을 통제한 상태에서 독립변수를 간호 근무환경으로, 종속변수를 직무만족으로 하여 분석하였을 때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a=0.68, t=6.18, p<.001). 다음으로 직무만족을 독립변수로 하고 이직 의도를 종속변수로 하여 분석하였을 때 직무만족은 이직 의도와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b=-0.19, t=-3.49, p<.001). 간호 근무환경을 독립변수로 하고 이직 의도를 종속변수로 하여 분석한 결과 간호 근무환경은 이직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c'=-0.11, t=-1.49, p=.137), 간호 근무환경과 이직 의도 사이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a ‧ b=-0.14, 95% bootstrap CI=-0.26~-0.06). 간호 근무환경은 이직 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직무만족을 매개하여 간접적으로 이직 의도에 영향을 미쳐 직무만족이두 변수 사이에서 완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c=-0.26, t=-4.01, p<.001). 매개효과의 유의성은 5,000회 부트스트래핑을 시행하였으며 95% 신뢰구간은 -0.26~-0.06으로 두 값 사이에 0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igure 1).

Fig. 1.

Mediating effect of turnover inten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and job satisfaction.

논 의

본 연구는 국립법무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간호 근무환경과 이직 의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간호사의 이직 의도 수준은 중간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동일한 도구로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이직 의도를 측정한 선행연구보다 낮은 수준이다[24]. 선행연구의 간호사들은 평균 경력이 5년 미만이지만 국립법무병원 간호사들은 절반 이상이 5년 이상의 근무경력을 가진 간호사이기 때문에 이직 의도 수준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간호사의 근무경력이 늘어날수록 이직 의도는 감소하는 경향이 있으며[13], 실제 국내 간호사의 평균 근무 년수는 5년가량으로 5년 미만 간호사의 이직률이 가장 높은 점이 이를 뒷받침 해준다[25]. 본 연구에서도 근무경력이 1년에서 5년 미만인 간호사의 이직 의도 수준이 가장 높았고 10년 이상의 근무경력을 가진 간호사의 이직 의도가 가장 낮았다. 같은 측정도구는 아니지만, 정신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이직 의도를 평가한 연구에서도 3년에서 5년 미만 간호사의 이직 의도가 가장 높았던 선행연구도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15]. 따라서 저 연차 간호사들이 안정적으로 경력간호사 단계로 이행될 수 있도록 노력이 필요하며 경력 단계별 요구를 반영한 중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결과 90% 이상의 간호사들이 폭력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간호사는 타 분야 간호사와 다른 특수한 환경에서 폭력의 위험성에 노출되어 있으며[26] 특히 범죄를 일으킨 정신장애인을 돌보는 간호사의 경우에는 보안 수준이 높은 환경에서 충동성이 높은 대상자와 치료적 관계를 유지해야 하므로 더욱 취약할 것으로 예상된다[7]. 폭력 경험은 간호사에게 부정적인 신체적, 심리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며 이직 의도의 증가에도 관련 있다[26]. 직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폭력 상황에서 간호사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수단 마련을 통해 간호사의 이직 의도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폭력을 경험한 간호사에 대한 상담 및 지원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의 간호 근무환경 수준은 중간 점수 이상으로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간호 근무환경을 측정한 선행연구보다 낮은 수준이다[19,21].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간호사의 참여나 간호를 위한 기반, 간호사와 의사의 협력관계가 선행연구보다 낮았다. 이는 국립법무병원에서 간호 서비스를 받는 환자에게 제공되는 인적, 물적 기반이 부족하고 국립법무병원 인력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간호사가 병원 운영의 참여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음을 시사한다. 국립법무병원은 병원의 역할과 기능을 높이기 위해 변화를 시도하고 있지만, 사법적인 문제로 감호에 치중하는 경향이 있으며[27] 공무원이라는 계급을 가진 수직적 조직으로 간호사의 의사결정 참여에 제한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긍정적인 간호 근무환경의 중요성은 계속 높아지고 있으므로 범죄를 일으킨 정신장애인을 돌보는 국립법무병원의 간호 근무환경을 개선함으로써 간호의 질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에 참여한 간호사의 직무만족 수준은 중간점수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하위영역별로 직업의 안정성과 보람 점수가 가장 높았고 조직의 인정 및 전문적 성취 점수가 가장 낮았다. 이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직무만족을 측정한 선행연구와 유사하다[19,23]. 조직의 인정 및 전문적 성취는 간호 업무에 대한 능력을 인정받고 간호사로서 자부심과 성취 가능성을 나타내는 요인이다. 국립법무병원 간호사들은 정신간호 업무를 수행하고 있지만, 감호업무를 동시에 수행하기 때문에 역할에 대한 모호함으로 간호사로서 직업적 성취를 이루기에 어려움이 있다[7]. 또한 여러 업무를 수행하면서 다른 직업군과 갈등으로 인해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어 조직의 인정 및 전문적 성취 점수가 가장 낮은 것으로 예상된다[9]. 직무만족은 간호사의 삶의 질과 더 나아가 환자의 만족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이기 때문에[17] 국립법무병원 간호사가 전문직으로써의 자부심을 느끼고 근무할 수 있는 조직적 노력과 분위기 조성이 요구된다.

간호 근무환경과 이직 의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를 살펴보면 국립법무병원의 간호 근무환경은 이직 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보단 직무만족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쳐 직무만족이 간호 근무환경과 이직 의도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립법무병원 간호사나 정신간호사의 간호 근무환경과 이직 의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파악한 연구가 없어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지만, 간호사의 직장 폭력 경험과 이직 의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이 매개효과가 있었던 선행연구[28]와 직무 스트레스와 이직 의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가 있었던 선행연구결과[29]와 유사하다. 따라서 국립법무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직무만족을 증진하기 위한 개입이 필요하다. 간호사의 직무만족을 증진하기 위한 교육 및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에 의하면 영적 지능 훈련과 전문적 정체성 개발이 직무만족을 증진하는 데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였다[30]. 이러한 검증된 프로그램을 통해 직무만족을 증진함으로써 이직 의도를 감소시킬 수도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는 정신간호 분야에서 하위 분야인 법의 정신간호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분석함으로써 추후 구체적인 경력개발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간호 근무환경과 이직 의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이 완전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지식의 확장에 기여하였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국내에 하나뿐인 단일 기관에서 자가 보고에 의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국립법무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특성을 반영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지 못한 한계가 있으므로 일반화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국립법무병원에서 근무하는 전체 간호사를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시행하였으며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자주 사용되는 측정도구를 선정하였다. 따라서 본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타 부서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반복 연구와 국립법무병원의 특성에 맞는 측정도구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직무만족을 증진하고 이직 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중재 연구를 제언한다.

결 론

본 연구는 국립법무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간호 근무환경과 이직 의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결과, 직무만족이 간호 근무환경과 이직 의도 사이에서 완전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국립법무병원의 특성을 고려한 간호 근무환경의 개선이 필요하며, 간호사의 직무만족을 높이고 이직을 줄이기 위한 통합적인 개입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숙련된 간호사를 유지하고 간호의 질을 향상함으로써 범죄를 일으킨 정신장애인의 안정적인 사회복귀와 건강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Notes

The authors declared no conflicts of interest.

AUTHOR CONTRIBUTIONS

CConceptualization or/and Methodology: Gang M

Data curation or/and Analysis: Gang M & Gwak D

Funding acquisition: Gang M

Investigation: Gwak D

Project administration or/and Supervision: Gang M

Resources or/and Software: Gwak D

Validation: Gang M & Gwak D

Visualization: Gwak D

Writing: original draft or/and review & editing: Gang M & Gwak D

References

1. Shin YS, Lee SH, Weng YR, Seo YW, Han SH, Tchoe BH, et al. Health and medical personnel survey. Policy Report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22 July. Report No. 11-1352000-003350-12.
2. Lee TH, Kang KH, Ko YK, Cho SH, Kim EY. Issues and challenges of nurse workforce policy: a critical review and impli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4;20(1):106–116. https://doi.org/10.11111/jkana.2014.20.1.106.
3. Iverson R. Employee intent to stay: an empirical test of a revision of the price and Mueller Model [dissertation]. [Iowa city]: The University of Iowa; 1992. 1–125.
4. North N, Leung W, Ashton T, Rasmussen E, Hughes F, Finlayson M. Nurse turnover in New zealand: costs and relationships with staffing practises and patient outcome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3;21(3):419–428. https://doi.org/10.1111/j.1365-2834.2012.01371.x.
5. Sawada S, Takemura Y, Isobe T, Koyanagi H, Kida R. Perceived impact of nurse turnover on the organization: a Delphi study on managers of nursing.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22;30(7):3168–3177. https://doi.org/10.1111/jonm.13738.
6. Institute of Justice. Yearbook of Judicial affairs in 2022. Yearbook of judicial affairs [Internet]. 2022 [cite 2022 November 20]. Available from: https://www.moj.go.kr/bbs/moj/167/559663/artclView.do.
7. Oates J, Topping A, Ezhova I, Wadey E, Rafferty AM. An integrative review of nursing staff experiences in high secure forensic mental health settings: implications for recruitment and retention strategi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20;76(11):2897–2908. https://doi.org/10.1111/jan.14521.
8. Kim GH, Kim SJ, Kim SS. Nurse staffing, inpatient's length of stay and safety accidents in psychiatric hospital setting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7;19(1):503–511. https://doi.org/10.37727/jkdas.2017.19.1.503.
9. Lee EY, Gang MH. Factor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among forensic psychiatric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21;30(1):19–29. https://doi.org/10.12934/jkpmhn.2021.30.1.19.
10. Kim EH, Kim JH. Literature review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for hospital nurses' turnover intention in Korea.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2014;11(2):109–222. https://doi.org/10.16952/pns.2014.11.2.109.
11. Lee YO, Kang JY. Related factors of turnover intention among Korean Hospital Nurs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8;30(1):1–17. https://doi.org/10.7475/KJAN.2018.30.1.1.
12. Kim JW, Kim HJ. Factors affecting turnover intention among married nurses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23;32(1):1–8. https://doi.org/10.5807/kjohn.2023.32.1.1.
13. Leineweber C, Chungkham HS, Lindqvist R, Westerlund H, Runesdotter S, Alenius LS, et al. Nurses' practice environment and satisfaction with schedule flexibility is related to intention to leave due to dissatisfaction: a multi-country, multileve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16;58:47–58. https://doi.org/10.1016/j.ijnurstu.2016.02.003.
14. Hwang JW, Bae JY. Influence of mental health nurses' moral distress and job satisfaction on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17;26(4):325–332. https://doi.org/10.12934/jkpmhn.2017.26.4.325.
15. Ha MH, Kim NH. Factors affecting turnover intention of psychiatric nurses. Journal of Kyungpook Nursing Science 2021;25(1):25–36. https://doi.org/10.38083/JKNS.25.1.202102.025.
16. Lake ET. Development of the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the nursing work index.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002;25(3):176–188. https://doi.org/10.1002/nur.10032.
17. Liu Y, Aungsuroch Y, Yunibhand J. Job satisfaction in nursing: a concept analysis study.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2016;63(1):84–91. https://doi.org/10.1111/inr.12215.
18. Wang Y, Dong W, Mauk K, Li P, Wan J, Yang G, et al. Nurses' practice environment and their job satisfaction: a study on nurses caring for older adults in Shanghai. PLoS One 2015;10(9)e0138035.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138035.
19. Kim BJ, Lee SY, An GJ, Lee GN, Yun HJ. Influence of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on job satisfaction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2019;44(2):189–197. https://doi.org/10.21032/jhis.2019.44.2.189.
20. Price JL, Mueller CW. A causal model of turnover for nurse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1981;24(3):543–565. https://doi.org/10.2307/255574.
21. Choi EH, Choi MN, Kim EY, Yoo IY, Lee NJ.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nursing work index for korea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41(3):325–332. https://doi.org/10.4040/jkan.2011.41.3.325.
22. Lee BS, Eo YS, Lee MA. Development of job satisfaction scale for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8;48(1):12–25. https://doi.org/10.4040/jkan.2018.48.1.12.
23. Yeun EJ, Kim HJ. Development and testing of a nurse turnover intention sclae (NT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2):256–266. https://doi.org/10.4040/jkan.2013.43.2.256.
24. Lee EK, Kim JS. Nursing stress factors affecting turnover intention among hospital nurse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2020;26(6)e12819. https://doi.org/10.1111/ijn.12819.
25. Park SK, Cho GM, Jwa YG, Kang DW, Lee YJ. Survey about nurses status. Policy Report Cheongju: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4 December. Report No. 11-1352000-001476-01.
26. Jang SJ, Son YJ. Lee HY. Prevalence, associated factors and adverse outcomes of workplace violence towards nurses in psychiatric settings: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Mental Health Nursing 2022;31(3):450–468. https://doi.org/10.1111/inm.12951.
27. Jang SI. A study on the custody system for criminals with mental disorders and its improvement measure. Legal Theory & Practice Review 2016;4(2):103–128.
28. Kim HJ, Shin SH. Mediation effect of job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ed satisfaction and trunover intention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2021;12(11):445–456. https://doi.org/10.15207/JKCS.2021.12.11.445.
29. Kuo HT, Lin KC, Li IC.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satisfaction on turnover intention for long-term care nurses in Taiwan.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4;22(2):225–233. https://doi.org/10.1111/jonm.12044.
30. Niskala J, Kanste O, Tomietto M, Miettunen J, Tuomikoski AM, Kyngas H, et al. Interventions to improve nurses' job satisfac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20;76(7):1498–1508. https://doi.org/10.1111/jan.14342.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 1.

Mediating effect of turnover inten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and job satisfaction.

Table 1.

Differences of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N=102)

Characteristics Categories n (%) M±SD t or F (p)
Sex Male 33 (32.4) 3.39±0.89 1.56 (.121)
Female 69 (67.6) 3.07±0.97
Career at current hospital (year) <1a 17 (16.7) 3.45±0.77 13.14 (<.001)
1~5b 24 (23.5) 3.72±0.93 d<a, b, c
5~10c 20 (19.6) 3.54±0.79
≥10d 41 (40.2) 2.56±0.95
Working pattern Day fixation 16 (15.7) 2.66±0.97 -2.36 (.020)
Shifts 86 (84.3) 3.27±0.93
Workplace violence experience Yes 92 (90.2) 3.24±0.96 -2.03 (.044)
No 10 (9.8) 2.60±0.76

Table 2.

Level of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N=102)

Variables M±SD Range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2.41±0.47 1~4
 Nurse participation in hospital affairs 2.31±0.52
 Nursing foundations for quality of care 2.46±0.43
 Nurse manager ability, leadership, and support of nurses 2.29±0.55
 Staffing and resource adequacy 2.43±0.59
 Collegial nurse-physician relations 2.56±0.58
Job satisfaction 3.28±0.54 1~5
 Recognition from the organization and professional achievement 2.99±0.70
 Personal maturation through the nursing profession 3.15±0.83
 Interpersonal interaction with respect and recognition 3.22±0.53
 Accomplishment of accountability as a nurse 3.52±0.65
 Display of professional competency 3.14±0.65
 Stability and job worth 3.67±0.65
Turnover intention 3.17±0.95 1~5

Table 3.

Correlation among Nurse Practice Environmen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N=102)

Variables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Job satisfaction
Turnover intention
r (p) r (p) r (p)
Nurse practice environment 1
Job satisfaction .56 (<.001) 1
Turnover intention -.37 (<.001) -.46 (<.001) 1